이전페이지

단정한 불자의 자세

메뉴보기
home 어린이 총림 단정한 불자의 자세

단정한 불자의 자세

차수

절에 다니거나 부처님말씀(법문)을 들을 때, 스님과 마주 앉아 이야기를 할 때 손을 서로 마주 잡습니다. 이때 손은 힘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왼 손 등을 오른손으로 덮어서 가볍게 손가락으로 잡습니다. 팔은 너무 들어올리지 말아야 합니다. 이것을 바로 차수라 합니다.

합장

합장이란 두 손바닥을 합하여 흩어진 마음(여러 가지의 생각)을 한 곳으로 모아 안정하며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의 인사법이 합장입니다.
합장하는 방법
  1. 손바닥을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한데 모읍니다.
  2. 손가락이 서로 어그러지거나 벌어지면 안 되며 팔꿈치를 들어오려도 안 됩니다.
  3. 손목을 가슴 한 가운데의 움푹 들어간 곳에 손가락 두 마디 정도 떨어지도록 합니다.
  4. 두 팔을 겨드랑이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하며 고개를 반듯하고 공손하게 세워 마음을 한 곳으로 모읍니다.
  5. 손끝은 코끝을 향하도록 자연스럽게 세워야 합니다.

삼배(큰절)

절은 존경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자신을 모두 내맡긴다는 뜻이며 겸손한 마음을 나타내어 자신을 낮추고 부처님의 위대함을 받드는 방법이 절입니다. 삼배는 불,법,승 삼보에 대하여 믿고 의지한다는 마음으로 세 번의 절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체의 다섯 부분인 무릎, 두 팔꿈치, 이마를 바닥에 닿게 하는 정성스런 예법이 바로 삼배입니다. 오체투지란 큰 절을 지극한 마음으로 신체(우리 몸)의 다섯 부분인 양쪽 팔꿈치와 무릎, 그리고 이마를 땅에 닿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절하는 방법
  1. 큰절을 하기 전에 먼저 합장을 하고 부처님을 향해 반배를 합니다.
  2. 합장한 상태로 다리를 굽히면서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이때, 오른발이 밑으로, 왼발이 위로 가도록 포개어 엉덩이로 깔고 앉습니다.
  3. 바닥에 오른손과 왼손을 동시에 바닥에 엎드리면서 나란하게 짚습니다.
  4. 이마를 땅에 대면서 몸을 납작하게 엎드린 채, 두 손을 뒤집어 자신의 귀 높이까지 약간 들어 올려서 부처님의 두 발을 받드는 모양을 합니다.
  5. 일어날 때에는 손을 다시 엎어 짚으면서 몸을 일으키되, 발끝을 세우고 두 손을 모아 합장하며 일어납니다.
  6. 큰절의 마지막 번째 절을 마치고 일어서기 전 고두례(유원반배)를 합니다. 고두례란 존경하는 부처님께 절을 더 하고 싶지만 이것으로 마치게 되는 아쉬음을 표시하는 예법입니다. 큰절을 끝내고 엎드린 자세에서 팔꿈치를 들지 말고 머리와 어깨만을 들고 합장하였다가 다시 두 손과 이마를 땅에 댑니다.
  7. 고두례를 마치고 일어나 반배를 할 때는 60도 각도로 머리를 깊숙이 숙여서 절합니다.

우슬착지/호궤합장(장궤합장)

우슬착지
야외나 오체투지의 예를 하기 어려울 때 부처님께 예경하는 자세로 오른쪽 무릎을 땅에 붙이고 발끝을 땅에 버티게 하며, 왼쪽 무릎을 세우고 발은 땅에 밟고 있는 자세입니다.
호궤합장
수계(受戒)를 받을 때 무릎을 땅에 붙이고, 무릎부터 상체가 수직이 되도록 몸을 세웁니다. 이때 엉덩이를 들고 두 발끝으로 땅을 버티는 자세를 하면서 합장합니다.

경전에 대한 예절

"경전을 소중히 여겨라."
“제자들이여, 어리석은 사람들이 보물을 여기듯이, 진리를 배우는 사람들은 경전을 소중히 여겨 부모님을 섬기듯이 해야 한다. 사람이 사람을 섬기는 것은 단지 일생에서 그치지만, 경전은 한없는 세월동안 사람들을 좋은 길로 인도하며 깨달음을 얻게 하니 경전 받들기를 부모님 대하듯 해야 한다.” 하늘에 떠 있는 태양이 있기에 사람이나 아주 작은 생물이 살아갈 수 있지만 태양이 없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우리가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부모님을 비유할 때 태양과 같다고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경전을 부모님을 섬기듯이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것은 경전 속에 담겨있는 진리의 중요함을 강조하신 뜻입니다. 이 세상 사람들이 진리를 업신여기고 따르지 않는다면 세상은 엉망진창, 뒤죽박죽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진리의 등에 불을 켜고 자신에게 의지하라.”고 하셨습니다.

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은 스승님의 줄인 말로, 오직 부처님을 섬기며 진리를 배우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시고, 공부를 마치신 다음에는 부처님의 가르츰을 알리어 중생을 제도하시는 분입니다. 우리는 절 안에서나 혹은 길에서 스님을 만나면 모르는 스님이라도 항상 공손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합장을 하고 ‘성불하십시오.’라고 인사해야 합니다. ‘성불’이란 부처님처럼 진리를 깨달아 거룩한 성인(큰 사람, 위대한 사람)이 되라는 뜻과 모든 소원을 이루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러나 스님께서 염불독경이나 참선, 공양(식사)하실 때는 절을 올리지 않으며, 스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여쭈어 볼 것이 있다면 찾아가서 방문을 노크하고 밖에서 선채로 자신이 누구라고 알린 다음 들어가서 일배(1번 절하는 것)를 올린 후 공손히 여쭈어야 합니다.

법당에서의 예절

법당을 들어오고 나갈 때는 부처님을 모신 정면의 가운데 문으로 출입하지 않으며, 양옆의 문으로 출입합니다. 문은 두 손으로 받들어 열고 닫으며, 신발은 가지런히 놓고 법당에 들어갑니다. 법당 안에서 걸을 때는 항상 발뒤꿈치를 들고 소리가 나지 않게 걸어야 합니다. 들어서서는 합장한 자세로 서서 반배합니다.
공양 올리는 법
공양이란 깨끗한 마음으로 음식, 꽃, 향, 초 등을 부처님께 올리는 것이며, 또한 우리 이웃의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물건이나 참다운 가르침을 베풀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부처님께 향과 촛불을 올리는 것은 우리들의 마음이 더욱 향기롭게 빛나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향은 자신의 몸을 태워 좋은 향기를 내며, 초는 자기의 몸을 태워 밝은 빛을 냅니다. 우리도 향과 촛불처럼 우리의 몸과 마음을 부지런히 닦아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는 마음을 지녀야 합니다.
촛불 켜는 법(초 공양)
  1. 촛불을 켤 때는 부처님 앞까지 가서 반배하고 초를 먼저 촛대에 꽂아야 합니다. 이때 오른손은 초를 잡고 왼손으로 받들어 꽂습니다.
  2. 꽂은 초가 반듯하게 서야 합니다.
  3. 법당에 들어갔을 때 이미 촛불이 켜져 있으면 새 초를 갈아 끼우지 않습니다.
  4. 법당을 나올 때는 촛불을 꺼야 하는데 법우 중 제일 늦게 나오는 법우가 끄고 나와야 합니다. 그러나 옆에서 법우가 기도를 하고 있거나 남아있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촛불을 꺼서는 안됩니다.
  5. 촛불을 끌 때는 집게나 기구를 사용하고 촛농이 흐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하며, 혹시 기구가 없을 때는 촛불 뒤로 손을 가리고 조용히 손으로 부채질해서 꺼야합니다.
  6. 촛대에 초를 꽂은 다음 다시 합장을 하고 한 발 뒤로 물러서 반배를 한 다음, 합장한 채로 뒤걸음으로 제자리에 들어갑니다.
향 올리는 법 (향 공양)
향은 촛불 켜는 법과 비슷합니다.
  1. 향을 사를 때(불을 붙일 때)는 부처님 앞까지 가서 반배하고 향을 하나 들어서 불을 붙인 다음 오른손으로 향을 올립니다. 이때 불이 붙은 쪽이 위로 향하도록 해야합니다.
  2. 고개를 숙이며, 두 손으로 향을 받들어 이마 위로 올렸다가 가슴 앞으로 다시 내린 다음, 왼손으로 오른손으로 받치면서 향로에 꽂아야 합니다.
  3. 법당에 들어갔을 때 이미 향이 피어 있으면 새 향으로 갈아 피우지 않습니다.
  4. 향로에 향을 꽂은 다음 다시 합장을 하고 한 발 뒤로 물러서 반배를 한 다음, 합장한 채로 뒷걸음으로 제자리에 돌아갑니다.
참선(업정)
참선은 자기의 참된 모습을 찾아가는 공부입니다. 보통 참선을 앉아서 하기 때문에 좌선이라고도 하는데 무엇보다 하나 된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참된 마음, 참된 자기가 바로 부처님 마음이고 부처님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참된 마음을 닦고 참도니 자기를 찾을 때 부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참선을 하면 좋은 점이 많습니다.
  1. 첫째, 집중력이 뛰어나 공부가 잘됩니다.
  2. 둘째, 자세가 바르기 때문에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셋째, 정신력이 강해져 마음이 안정됩니다.
  4. 넷째, 자신감이 생겨 무엇이든지 스스로 해낼 수 있습니다(자주성과 자립성)
  5. 다섯째, 창의력이 개발돼 누구보다 좋은 생각을 많이 낼 수 있어 하는 일마다 쉽게 이룹니다.
참선의 방법
  1. 고요한 곳, 조용한 곳에서 두껍고 부드러운 큰 방석을 깔고 허리를 반듯하게 펴서 앉습니다. 이 때 다리는 양반다리(책상다리)로 앉습니다.
  2.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 놓은 후 왼쪽 발을 오른쪽 무릎 위에 놓은 결가부좌나 한쪽 발을 다른 무릎 위에 놓는 반가부좌를 합니다.
  3. 손은 오른손바닥 위에 왼손을 얹고 양쪽 엄지손가락 끝을 살짝 마주보며 닿게 한 후 양손을 발 위에 놓습니다.
  4. 자세를 바르게 합니다. 몸이 어느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앞이나 뒤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이때 귀와 어깨는 서로 직각이 되며, 코와 배꼽은 직선이 되도록 합니다.
  5. 머리는 앞으로 똑바로 향하게 하며 눈은 자연스럽게 반쯤 뜹니다.
  6. 입은 꼭 다물어야 합니다. 혀는 입천장에 붙이고 입술과 이가 서로 ᄄᅠᆯ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7. 숨은 고요하게, 천천히 코로만 쉽니다.
  8. 아랫배의 힘을 주면서 허리를 바르게 세워 앉은 후, 고요하고 차분한 마음으로 참선에 들어갑니다.

목탁치기(집중력을 기르는 시간)

목탁은 법회나 불교행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불교의식도구 중 하나입니다. 목탁은 목어(나무 물고기)가 변형된 것으로 목어는 긴 고기 모양이지만 목탁은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집니다. 둥근 나무의 속을 파내어 비게 만들고, 비어있는 부분은 나무채(나무 방망이)로 두드릴 때 울리는 소리가 납니다.

목탁은 목어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그 소리를 듣고 목어의 유래에 얽힌 전설이나 잠을 자지않는 물고리를 떠올리며 더욱 공부에 힘을 쏟게 됩니다. 목탁은 목어와 함께 모든 중생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일깨워줘서 고통을 여의로 즐거움을 얻게 하여 마침내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뜻에서 사용됩니다.

목탁의 종류로는 중국 등지에서 방석 위에 놓고 치는 큰 목탁와 직접 들고치는 작은 목탁이 있습니다. 보통 큰 것은 대중(사람)들을 모우기 위해 사용되거나 밥 먹을 때를 알릴 경우에 사용되며, 작은 것은 법당에서 염불하거나 예배, 독경할 때 사용됩니다.

절(사찰)에서 공양시간을 알릴 때에는 한 번 길게 치는데 처음에는 소리를 크게 하여 차츰 작게 줄입니다. 또 모두가 같이 해야 할 일이 있을 때에는 두 번을 길게 치며, 공부나 참선의 기간을 알릴 때는 세 번을 길게 칩니다. 또한 새벽에 절(사찰)을 돌면서 염불하는 도량석을 할 때에도 목탁은 꼭 스님과 함께 따라가며 사찰의 깊은 잠을 깨웁니다.

목탁을 지닐 때는 왼손으로 목탁을 오른손으로는 채를 집는데 섰을 때는 목탁 잡은 손을 명치 위에 고정시켜서 목탁을 반듯하게 들어야 합니다. 앉았을 때에도 목탁을 무릎에 대지 않고 역시 명치 앞에 반듯하게 들어야 합니다. 목탁을 칠 때는 경건한 마음으로 한결같이 고르게 쳐야 합니다.